2004. 6. 13. 03:39
그들이 만들어낸 새로운 문학 장르, ‘라이트 노벨’ 은 순수문학에서 잘 시도되지 못하는 파격적인 소재를 다루면서도 충분한 수익 체계를 가질 수 있는 그야말로 아마추어들만이 할 수 있는 톡톡 튀는 소재로서 승부하는 치열한 격전지의 이름이 되고 있다. 시장 구성원들도 라이트 노벨에 대한 구매 인식이 충분히 자리잡고 있으며, 이 라이트 노벨은 우리 나라의 인디 밴드 음반과 같이 아주 독특한 시장 원리에 따라 움직이는 색다른 시장이라고 할 수 있다.
이들이 써 낸 소설을 잘 살펴보면 ‘애니메이션 스토리’같은 느낌이다. 최근 읽고 있는 더블브리드나, 천국에 눈물은 필요없어 의 경우는 물론이고, ‘풀 메탈 패닉’, ‘마부라호’, ‘마법사 오펜’, ‘슬레이어즈’, ‘부기팝은 웃지 않아’, ‘키노의 여행’ 등 이미 애니메이션으로 만들어진 원작 소설이 전부 라이트 노벨로서 그 시초를 띄고 있다는 것을 생각해볼 때 보다 명확해진다.
우리나라에서도 라이트 노벨이라고 말 할 수 있는 장르가 점차 태동되고 있다. 아직 작가라는 직함이 어색한 풋내기 유망주들이 써낸 소설들이, ‘통신’이라는 매개체를 통해서 사람들에게 읽혀지고, 또한 그들에게 전폭적인 지지를 받으면서 메이저로 진출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이들은 크게 ‘순정 연애류’ 와 ‘판타지’로 나뉘어지고 있고, 나름대로의 시장도 충분히 개척한 상태다.
어떤 작품이 100만부 이상 팔리게 되면, 작가는 다음 작품에도 100만부를 팔기 위해서 그 작품의 세계관을 크게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작품을 만든다. 여기에는 출판사의 알력도 들어가며 작가 본인이 급격히 보수적으로 변하게 되는 부분도 분명 영향을 끼친다. 문제는 이것이 아마추어 시절에 맛을 들이게 되면 이후 독자들이 새로운 작품을 원할 때 전혀 적응하지 못하고 소설계에서 도태될 수 있다는 것이다. 드라마 작가들을 보라, 10년 전부터 인기 작가의 대열에 올라왔었던 수많은 작가들이 자신의 드라마 스타일을 끝내 버리지 못하고 아류작들만을 양산해 내다가, 시장에서 퇴출당하고 있는 모습을… 국내 소설계의 위기는 이런 아주 사소하지만 큰 문제로부터 시작되는 것이다.
라이트 노벨은 그 나름대로 소설로서의 가치를 가지고 있다. 굳이 라이트 노벨을 시작하려는 새내기들이 메이저 소설을 동경해서 그들의 세계로 몸만 들어가서 어설픈 소설로서 자멸하는 길로 들어서지 않았으면 하는 개인적인 소망이 있다. 소설을 쓰는 재미에 푹 빠져 있는 그들의 그런 열정이 아깝다는 이야기이고, 그저 돈만 밝히는 출판사의 농간에 채 피우지도 못하고 얽매여야만 하는 현실이 안타까우며, 칭찬만을 들어도 2% 부족할 시기에 수도 없는 인신 공격과 비판만을 받으며, 채 소설 쓰는 맛을 느끼지 못하고 기계적으로 써야 하는 우리 나라의 자칭 라이트 노벨 작가들과, 참신한 소재임에도 능력을 인정 받지 못하고 피눈물 속에 작가의 꿈을 접어야만 하는 수많은 숨은 유망주들의 능력이 아깝게 느껴진다.
- RushAm -
'이전 글 모음 > Type Writ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 애니음악을 만드는 사람들 (1) - 이창희 (0) | 2004.09.15 |
---|---|
워터 보이즈, 판타지라는 미명 하에 금지된 청춘 (2) | 2004.08.25 |
SICAF...그들이 남긴 허와 실 (0) | 2004.08.08 |
자기 자신을 상징하는 노래 (0) | 2004.06.09 |
제목을 입력해 주세요 (0) | 2000.04.07 |